[이광연한의원 이광연 박사] 강서양천신문 - 성장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115.94.92.18)  lky@lky.lky  
조회 : 97 

우리 아이 10cm 더 키우기, 성장

 

부모가 키가 크면 아이도 클 확률이 높고, 부모가 키가 작으면 아이도 작을 확률이 높다. 하지만 부모가 커도 아이가 잘 먹지 않거나 운동을 하지 않으면 키가 작을 수 있고, 부모가 작아도 아이가 잘 먹고 운동을 많이 하면 부모보다 클 수 있다. 오늘은 성장에 대해 알아보자.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전, 영양, 수면, 운동, 정서, 이 다섯 가지를 성장의 5요소라 부른다. 이 중에서 유전은 내 의지와 상관없는 어찌할 수 없는 것으로, 점점 성장에 있어서 중요도가 낮아지는 요소이다. 이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인 영양, 수면, 운동, 정서 부분이 훨씬 중요하다. 다음과 같이 부모의 키로 유전적인 키를 예측할 수 있지만, 이 키에서 10cm 정도 더 클 수도 있고 더 작아질 수도 있다.

 

*최종 성장 예상치

남자 = (부모의 키의 합+13)/2

여자 = (부모의 키의 합-13)/2

 

아이의 성장을 돕기 위해서 한의학에서는 첫째, 특별한 문제가 있거나 유난히 기능이 쇠약해진 장부를 치료하고, 둘째, 성장에 관계된 신장(腎臟)과 비장(脾臟)을 보()하여 성장발육을 촉진한다.

 

 

성장판이 열려 있어야 키가 클 수 있다?

 

키가 자란다는 것은 다리와 척추의 뼈마디 끝에 있는 성장판에서 조금씩 뼈가 자라나는 현상이다. X-ray로 어린아이의 뼈를 관찰해보면 성장판이 크게 열려 있는 반면에, 성장이 끝난 어른의 뼈는 뼈끝의 틈이 없이 성장판이 닫힌 것을 볼 수 있다. 보통 여자아이는 초경 후 1년이 지나면 성장판이 닫히고, 남자아이는 16~17살에 성장판이 닫힌다. 따라서 여자는 초경이 시작되기 전, 남자는 중학교에 가기 전까지 열심히 노력해야 키가 부쩍 클 수 있다.

 

아이의 키가 또래보다 너무 작다고 생각될 때는 일단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X-ray로 성장판이 열린 정도를 체크하고, 혈액으로 갑상선, 간 기능, 호르몬 검사 등을 실시한다. 검사 결과 성장호르몬 부족이 판단되면, 의사는 호르몬 주사 치료를 시작할 것이다. 통계에 의하면, 키가 작은 아이 중에서 성장호르몬이 부족한 경우는 10명 중 1명이고, 나머지는 심리적 스트레스, 내분비 질환, 터너 증후군과 같은 유전 질환 등이 원인이 된다.

 


성장에 도움이 되는 생활요법

 

일찍 자는 습관을 들인다. 성장호르몬은 저녁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가장 많이 분비된다. 잠든 지 1~2시간이 지나야 성장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되므로, 가급적 일찍 자도록 한다.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운동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성장판을 자극한다. 줄넘기, 농구, 조깅, 점프 등을 하루 30분씩 주 5회 이상 해주고, 관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씨름, 역도, 유도, 웨이트 트레이닝 등은 피한다. 스트레칭은 근육을 이완시켜 성장통을 완화하고, 스트레스를 풀어줄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에도 좋다.

 

성장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먹는다. 성장호르몬을 구성하는 질 좋은 단백질을 많이 먹고, 뼈를 구성하는 칼슘과 칼슘의 흡수를 돕는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우유, 요구르트, 치즈, 고등어, 참치, 꽁치, 멸치, 뱅어포, 두부, 두유, 살코기 등을 권한다.

 

성장에 방해되는 음식은 먹지 않는다.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단 음식, 가공식품, 카페인, 탄산음료 등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는 식품은 금한다. 튀김, 과자, , 라면, 햄버거, 피자, 치킨, 초콜릿, 커피, 콜라, 사이다 등이 해당된다.

 

바른 자세를 유지한다. 가슴을 펴고, 어깨와 허리는 좌우로 흔들지 말고, 손을 앞뒤로 가볍게 흔들며, -어깨-고관절이 일자를 유지하도록 크게 걷는다. 어깨를 움츠리거나 엉덩이를 뒤로 빼고 걸으면, 성장판에 자극이 별로 안 된다. 한쪽 어깨로 가방 메기, 다리 꼬기, 무릎 꿇기, 책상다리 등은 피하고, 너무 오래 걷거나 앉거나 서 있지 않는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절반 이상으로 줄어든다. 특히 성장호르몬은 밤에 분비가 왕성해지기 때문에 잠들기 전에는 야단을 치거나 무리하게 공부시키지 않는다.

 

 

성장에 좋은 음식

 

검은콩, 검은깨 :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검은 색깔을 띤 식품은 신장으로 들어가서 골수를 생성하고 뼈의 성장을 도와준다고 하였다. 검은콩에는 근육과 성장호르몬을 활성화시키는 성분이 많고, 검은깨에는 칼슘과 철분이 풍부해서 뼈와 피의 생성을 돕는다. 검은콩과 검은깨를 볶아서 가루를 내어 하루 2번 우유에 타 먹이면 좋다.

 

홍화씨 : 홍화씨에는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골조직을 치밀하게 만들어준다. 홍화씨를 약간 노릇노릇해질 때까지 볶아서 가루를 내어 하루 2번 우유에 타 먹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