잣
신선들의 음식 두뇌발달의 명약 잣
1. 일화,
잣을 한의학에서는 해송자라고 하고 신선의 음식이라고 생각 그래서 “잣죽을 3년먹으면 신선이 된다”는 말이 전해진다, 왕실에서는 왕의 기력증진을 위해 잣으로 만든 송자주를 담아 드렸다.
우리나라 잣은 옛날부터 ‘해동송자’로 고려 인삼과 더불어 함께 중국과 서역까지 수출된 특산품
중국의 여러 문헌에도 ‘신라의 잣은 수련하는 사람들이 먹고 또 신라 사신이 명물인 신라잣을 가져왔다는 기록
중국의 <개보본초><해약본초><대관본초>에도 우리의 잣이 최고라고 기록
<정창원문서>나 <화한삼재도회>에는 일본 사람들도 우리의 잣을 구했고 일본의 잣은 그 기원이 조선이라는 기록도있다.
우리 선조들은 정월 대보름을 상원(上元)이라 해서 한 해동안 무사함을 빌면서 달맞이를 하는 풍습
대보름에하는 민속놀이중 하나가 정월 열나흩날 저녁 가족이 둘러앉아 잣껍질을 벗기고 알맹이를 솔잎에 꽂아 불을 켜보는 것, 잣이 타는 모양에 따라 한해 운을 예측하고 소원을 빌기도 하였다
2. 한방 약재명 (이명)
해송자, 백자, 송자, 실백
3. 약성 (기미)
성질이 조금 따뜻하고(性小溫)하고 맛은 답니다(味甘).
4. 한방 서적 인용
<동의보감>
“잣은 자양강장 효과가 있으니 평소 잣죽을 지주 먹으면 더없이 좋다.”“잣은 기혈을 보하고 폐기능을 도와 기침을 멈추며 내장기능을 원활하게 한다.”
“허한 것을 보하고 여윈 것을 살찌게 한다.”
5. 한의학적 효능, 효과
1) 폐를 건강하게 합니다.
잣은 성질이 따뜻하고 오장육부를 보
특히 폐장 포함한 호흡기 계통의 기능을 강화하는 효능
만성 기관지염으로 생기는 기침과 가래
폐와 밀접한 관계가있는 표리(表裏)장기인 대장 기능저하로 오는 노인성 변비
폐가 주관하는 피모(皮毛)에도 영향
피부가 거칠고 피부가 건조해서 오는 각질, 피부 가려움에 효과 피부 윤기가 흐르고 영양상태도 좋아진다.
한의학에서는 폐와 대장 피부는 같은 게열 그래서 폐가 좋아지면 대장이 좋아지고 피부가 건강해지는 효과
2) 신경통 개선
잣은 관절통 · 팔다리가 저리고 아플 때
3) 기타
잣은 태아를 안정시키는 안태작용 지혈 효과 코피 토혈 평소 얼굴이 붉고 어지러운 사람의 중풍 예방
5‘. 사상체질
1) 비만하기 쉬운 태음인
잣에 들어있는 감마리놀레인산은 비만에 효과
비만해지기 쉬운 태음인비만 예방
태음인은 폐의 기운이 약해 호흡기 질환에 취약
폐기를 도와 기관지염 기침 가래 토혈 코피
노폐물이 체내에 축적되기 쉬운 태음인
잣은 불포화지방산을 많아 고혈압이나 성인병을 예방
6. 성분 구성
잣은 100g당 약 670kcal
대부분 불포화지방(74%)과 단백질(15%)
무기질 중 철이 비교적 많다.
6‘. 성분 설명
7. 서양의학적(약리학적) 효능, 효과
1) 불포화지방산 허약체질 병후회복
잣의 영양소중 약 70%를 차지하는 지방의 대부분이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인산, 오메가3지방산
인,칼슘,철,비타민E도 있어 우리몸에 영양과 에너지를 공급하는 완전 식품 그래서 옛부터 잣은 병후회복과 허약한 체력을 회복하는 보양식.
미국의 연구 보고서에 우리 잣이 다른 나라라 잣에 비해서 불포화 지방을 훨씬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발표
2) 고혈압 동맥경화 성인병예방
불포화지방산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액을 맑게하고
동맥경화 심장병 중풍같은 성인병 예방
잣에 많은 마그네슘은 동맥을 이완시켜 혈압을 떨어뜨리고 심장병 발병의 위험을 낮춘다
또한 칼슘 철,인같은 미네랄은 혈관의 탄력성을 높여 심혈관 질환 예방
3)두뇌발달 치매 학습능력 향상 성장 발육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인산, 오메가3지방산은 인체 여러 조직 세포의 구성 성분이자 뇌와 신경조직의 주요성분
대뇌 발육,치매예방 학습능력 향상과 기억력 개선
래서 잣은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 발육을 촉진
잣에 풍부한 레시틴은 뇌신경 세포에 활력을 불어넣어주고 두뇌 활동을 활발히 하여 노인성 치매를 예방하는 효
양질의 단백질은 성장, 발육 신체의 면역력을 증진
칼슘은 인체 골격과 치아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
인은 인체의 구성 물질인 인산염을 합성하는 필수적인 성분, 뼈, 치아를 이루는 물질 성장기 어린이에게 필수
4) 피부, 모발 건강
잣에 풍부한 비타민 A와 E는 피부와 두피의 모공을 튼튼하여 모발을 윤기나게 탈모와 새치 예방
1일 20알 정도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 하는 비타민 B2, 노화방지와 회춘의 비타민인 비타민 E를 많이 함유
5) 변비 방지
잣에 많은 양질의 지방은 배변을 잘하게 도와주어서 변비
그러나 평소에 과민성 대장이나 설사로 대변이 묽거나잦은 사람은 주의
6) 신장(腎臟) 건강
잣에는 리놀렌산, 올레산 등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신장을 튼튼
8. 음식의 부작용, 금기
지방이 많아 평소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
대변이 묽은 사람도 많이 먹으면 설사
잣은 지방이 많아 실온에서 금방 산패하므로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보관
오래 두었다 먹으려면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로 밀폐하여 냉동보관
10. 음식궁합이 잘 맞는 쌍
1) 잣과 해조류 치즈 우유
산성식품인 잣은 인이 많고 칼슘은 부족 알칼리성인 미역 김 다시마 같은 해조류나 칼슘이 많은 치즈 우유와 좋은 궁합
2) 오미자·산수유차에 잣
오미자와 산수유로 만든 차에 잣을 띄우면 피로회복과 면역력 증진에 최고
오미자의 유기산은 피로회복 면역력 증진으로 잔병치레 예방,
산수유는 정력을 좋게 하고, 허리와 무릎의 시린 통증을 감소시키며, 소변이 잦은 것을 낫게 하고, 어지럼증과 이명에도 효과
잣의 불포화지방산은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3) 잣과 바나나 밤
잣과 바나나는 장이 무력하고 약해서 생기는 변비에 효과잣의 지방은 변을 부드럽게 하고, 바나나의 식물성 섬유인 펙틴은 변비 해소.
잣과 밤은 기관지가 약해서 생기는 만성 해수(咳嗽)
태동불안의 안태작용
4) 잣과 수정과
수정과는 곶감 생강즙, 꿀. 잣
수정과에 잣을 띄워서 먹으면 맛과 영양이 좋아짐
감의 타닌산은 수렴작용이 있어 설사와 배탈을 치료
변비를 유발 가능성
잣은 불포화지방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곶감을 먹어서 생기는 변비를 완화
생강은 성질이 따뜻해 수족냉증 설사에 도움
11. 음식궁합이 맞지 않는 쌍
1) 잣과 땅콩
잣과 땅콩은 지방이 많아 같이 먹으면 설사를 일으킬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