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
1. 일화
소는 기원전 5천 년경 부터 가축화되었고 소를 우공이라 부를 정도로 존중받아 온 동물입니다. 특히 인도에서는 소를 신성시 합니다. 우리민족에게 노동력의 원천인 소는 재산목록 1호였고 그냥 가족이라고 생각했다. 소고기는 일반 백성들이 쉽게 접할수 있는 고기는 아니었지만 우리는 소고기를 이용한 요리가 매우 발달했습니다.
우리사전에 소를 분할해서 먹었던 부위별 명칭만해도 100가지가 넘는다. 세계적인 인류학자 마가렛 미드 여사는 미국 인류학 협회에서 "세계에서 소고기를 부위별로 세분화해서 먹는 고도의 미각을 가진 민족으로 한민족과 아프리카 보디족을 꼽을 수 있다, 일본이나 중국은 15부위 정도, 영국, 프랑스인은 35부위, 보디족은 51부위, 그리고 한국인은 120부위로 나눠먹는다." 라고 얘기했습니다. 시인 정지용의 시 ‘향수’ 가사중 ‘얼룩빼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이라는 구절이 나오듯이 소는 우리의 고향같은 존재였다
2. 한방 약재명 (이명)
우육(牛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습니다(無毒). 비(脾), 위(胃)에 작용합니다.
<동의보감>
1) 우육(牛肉, 쇠고기)
“성질이 평(平)하고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비위(脾胃)를 보하고 게우거나 설사하는 것을 멈추게 하며, 소갈과 수종(水腫)을 치료 한다. 또한 힘줄과 뼈, 허리와 다리를 든든하게 한다[본초].”
5. 한의학적 효능, 효과
1) 진정효과
소에서 나오는 우황은 정신 질환에 진정, 진경 효과
2) 신수(腎水) 보강
소의 꼬리와 음낭은 신수(腎水)를 보강하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3) 보비위(補脾胃), 익기혈(益氣血)
소고기는 따뜻한 성질로, 비위를 보강하고 기(氣)와 혈(血)을 보충
4) 강근골(强筋骨)
소고기의 단백질과 철 지질은 탁월한 영양 공급원
근육과 뼈에 영양을 공급
5. 사상체질
쇠고기는 성질이 따뜻하고 영양이 풍부 음성체질인 태음인에게 적합한 육류입니다.
7. 효능, 효과
1) 면역 근육 성장 . 아연, 단백질
하루 소고기 약90g을 먹으면 단백질, 아연, 비타민 B12, 셀레늄 등의 영양분 공급, 아연은 참치 캔 12개, 닭 가슴살로는 8조각에 해당
아연은 성장에 필수 영양소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흡수와 이용을 원활히 하고 면역력을 강화하고, 피부와 뼈를 튼튼하게하고 상처의 빠른 회복과 식욕과 미각 유지에도 필요, 소고기의 아연은 식물성 아연보다 흡수가 용이한데, 그 흡수율이 25% 정도 보리빵 아연 흡수율이 14%
소고기에는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이100g당 20g이상함유 단백질의 하루에 필요한 섭취량의 절반에 해당합니다.
3) 다이어트
다이어트 여성들이 소고기를 꺼리는 이유는 지방 함량이 높기 때문인데 실제 소고기 살코기의 지방은 돼지고기의 1/5정도일분만 아니라, 아미노산이 풍족하고 비타민도 풍부하며 콜레스테롤 함량도 적기 때문에 비만이나 고지혈증 고혈압동맥 경화증 처럼 성인병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적당히 먹어도 무방하다, 또 다이어트 중인 사람들에게도 건강식품으로 권장할 만하다
4) 면역 기능강화 빈혈 예방
소고기에 풍부한 철과 아연은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인체를 활기차게 해 주는 영양소입니다. 철과 아연은 자연적인 식사를 통해 음식물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철은 시금치 3컵 분량
철은 뇌발육과 성장, 산소가 인체에 골고루 퍼지게하고 체력유지와 건강한 면역력을 유지시키는 필수적인 영양소
부족하면 빈혈, 집중력 감퇴, 피로, 졸음, 현기증
살코기에는 많은 철분이 들어 있고 인체에 쉽게 흡수
쇠고기는 식품 중에서 이러한 철의 함량이 가장 높습니다. 특히 체내의 철분 흡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인 햄철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6) 피부 미용과 암 예방
소머리고기에는 콜라겐은 피부건강을 유지시켜주고 근육을 건강하게 합니다.
소고기에 들어 있는 엽산을 비타민 B11이라고도 한다
엽산은 피부 노화방지와 색소 침착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을 좋게 하고 윤기와 활력을 더해줍니다. 엽산은 자궁 경부암의 진행을 예방 하는데, 엽산 결핍일 경우 자궁경부암이 5배나 높다. 우리나라 젊은 여성의 98%, 노년 여성의 84%가 엽산 부족
7) 어린이 성장촉진
소고기의 단백질은 성장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성장기 어린이가 소고기를 꾸준히 먹으면 좋습니다.
8. 음식의 부작용, 금기
소고기는 지방이 많고 콜레스테롤이 높기 때문에 과다복용시 성인병 우려 습니다. 또한, 산성 식품이기 때문에 알칼리성 식품인 채소류와 같이 먹으면 좋습니다.
늙은 소고기는 맛이 질기고겨 어린 소고기는 연하지만맛이 떨어지고 4~5년산 암소가 가장 맛이 좋다.
안심이 가장 연하고 다음이 등심입니다.
1)쇠고기:배,무,마늘,양파,키위,파인애플,
배는 단백질과 지방을 소화시킬수 있는 소화 효소가 많아 육류의 소화 흡수율을 높여줍니다. 육회나 소고기 갈비를 만들때 배,무우, 마늘, 양파 후춧같은 양념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돕고 소고기의 산성을 중화하는 의미
쇠고기를 연하게 하기 위해 우리는 배를 사용하고
서양에서는 키위, 파인애플 등을 사용
파인애플에 브로멜린,
배와 무에는 단백질과 지방 분해 효소
2) 쇠고기와 참기름 들깻잎 배추
쇠고기는 콜레스테롤과 포화 지방산이 많고 유발 가능성이 단점 이러한 쇠고기를 참기름과 같이 먹으면 혈관벽에 지방질이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서로 보완하는 음식 궁합
깻잎에 섬유질은 지방의 체내 흡수를 줄이고, 쇠고기에 없는 칼슘과 비타민 C를 보충해주는 상호 보완적인 음식궁합. 탄음식에서 생기는 발암 물질인 ‘타르’를 깻잎의비타민 C와 엽록소가 중화시켜 암이 생기는 것을 예방
우거지갈비탕에 들어가 있는 알칼리성 식품인 배추에는 섬유질과 비타민 C와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지방의 체내 흡수를 줄이고 감기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