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인간 생명 유지의 최고 필수 음식 하얀 보석 소금
1. 일화
소금은《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약물 중독의 해독제로 소개하고 있고 기원전 2세기 중국사람들은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만들었다 , 우리민족은 소금이 나쁜 기운을 쫓는 힘이 있다고 생각했고, 태국에서는 산후에 소금물로 몸을 씻으면 나쁜 기운이 몸에 범접하지 못한다고 믿었다.
독일은 옷 속에 소금을 넣어 두면 사악한 기운이 물러간다, 아랍에는 소금을 같이 먹으면 친구가 된다는 풍습
고대 그리스 로마에서는 소금이 금처럼 귀하게 여겼고 1 화폐의 역할까지 했다 가난한 사람들은 소금을 얻기위해 자녀를 팔기도 했습니다.
로마시대에는 군인(Soldior)도 월급을 소금으로 받았다 라틴어 ‘Slodior'는 소금으로 월급을 받는 사람을 뜻
월급을 뜻하는 ‘샐러리’도 소금(salarium)으로 임금을 주던 로마의 전통에서 나온 단어고 ,샐러드(Salad)도 채소에 소금을 넣어서 만든 음식 ‘Salade' 실크로드 이전에 이미 ‘Salt Road'가 있었다. 히말라야에는 지금도 소금길이 있다.
클레오파트라는 소금기 가득한 사해바다 진흙을 얼굴에 발라 피부관리를 해 아름다움을 유지했다
로마사람들은 사랑에 푹 빠진 사람들을 샐락스(Salax)라고 했다 이말은 '소금에 절여진 상태'란 뜻이다
유럽 역사에서도 소금은 권력과 풍요의 상징이었다.
베네치아는 7C까지만해도 작은 시골어촌에 불과했다 그러나 10C 이후에 풍요로운 해양도시로 번성하게된것은 인근에서 만들어지는 소금을 팔아 큰 소득을 얻었기 때문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는 소금 이야기가 담겨 있는데 중국에서는 소금과 황금을 바꾸기도 하고 황제가 소금으로 세입을 얻는 과정 소금만드는법
조선시대 가장 장수하셨던 영조(英祖)는 간택을 기다리는 규수들에게 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것이 무엇인지 물었다, 김한구의 딸은 ‘소금이 가장 맛있다 소금이 없으면 음식을 할수 없다고'대답했다. 그래서 간택이 되었고, 이분이 똑똑하기로 유명한 정순왕후김씨 인데 이때 영조의 나이는 66세, 정순왕후는 15세
빨치산 이었던 이태(李泰)씨의 남부군 소설을 보면, 빨치산의 3대 필수품이 돼지기름 놋숟가락 소금
2. 한방 약재명 (이명)<동의보감>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짜고[醎] 독이 없습니다[無毒]
“식염(食鹽)의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짜고[醎] 독이 없다. 귀주, 고독, 사주, 독기를 없애며 중악으로 가슴이 아픈 것, 곽란으로 명치 밑이 갑자기 아픈 것, 하부의 익창을 낫게 한다. 또한 가슴 속에 있는 담벽과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위장에 남아 있는 것을 토하게 하며 또 양념의 간을 맞춘다. 많이 먹으면 폐를 상하여 기침이 나게 한다. 소금을 두고 끓인 물로 모든 헌데를 씻으면 종독이 삭아진다.” 먹으면 좋은 체질은 소음인이나 적당량을 먹는것이 좋습니다.
7. 효능, 효과
1) 미네랄 공급과 삼투압 유지
소금은 우리몸에 필요한 미네랄을 공급하고 체액의 균형을 이루게 한다다. 땀을 흘린뒤 소금물을 마시면 체액의 균형을 맞추고 부족한 미네랄을 공급해주기 때문에 건강에 도움이된다. 또 소금은 열때문에 소실된 몸의 수분과 염분을 보충해주기 때문에 소금물은 해열 작용도 있다
2) 살균 작용
소금은 살균 효능이 있기 때문에 소금을 넣은 음식은 잘 상하지 않는다, 또 약간 상한 음식을 먹어도 배탈이 나지 않는다. 벌에 물려 빨갛게 붓고 통증이 있을때 소금을 환부에 발라주면 독도 빠지고 통증도 가라앉는다. 우리 민족이 벌레에 물려 부종과 통증이 있었을때 된장을 발랐던 이유기도 하다
3) 세포 재생 보조
소금은 세포작용을 도와 기미 여드름 주근깨등의 피부 치료에도 효과적이고 죽거나 파괴된 세포의 회복속도를 높여 신체활동에 활기를 줍니다.
4) 인체의 신진대사 관장
소금은 음식물을 소화하고,노폐물을 배설시켜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줍니다. 따라서 수술 뒤에 소금을 먹으면 상처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5) 위, 장기능 증진 철분의 소화 흡수
소금은 위와 장의 장운동에 도움이 되고 음식물의 영양분을 여러 장기에 고루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 철분의 소화에 관여합니다. 적혈구의 주성분은 철분인데 소금이 부족하면 소화가 안 되고 철분이 부족해져서 빈혈이 생깁니다.
8. 음식의 부작용, 금기
1) 당뇨 부종 고혈압 심장병 신장병에는 소금 사용을주의해야합니다, 세게보건기구가 권장하는 소금 섭취량은 5gm 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의 소금 섭취량은 12gm정도로 권장량의 2배가 넘는다. 이렇게 많은량의 소금을 섭취하는 이유는 음식문화와 관련이 많은데 찌개나 탕 김치와 된장같이 절여 먹는 식문화 때문이다 초기고혈압은 운동과 저염식만으로도 혈압을 낮출 수 있음.
평소 소금대신 식초나 후추 겨자등을 사용해서 조리하는것도 소금을 줄이는 한 방법
칼륨이 많은 음식(신선한 녹색 채소류, 감자, 고구마, 호박, 부추,오이, 수박 시금치, 호박, 부추, 깻잎, 수박,참외 복숭아)은 나트륨을 배설해주기 때문에 소금의 피해를 줄일수 있다
세계에서 소금섭취량이 가장 적은 에스키모인들은 거의 생식(生食)을 하기에 때문에 하루 소금 섭취량이 3g정도에 불과하다 그래서 에스키모인은 고혈압이 없다. 또 원시생활을 하는 뉴기니 사람들도 역시 소금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이 타지역으로 이민을 가서 음식의 문화가 바뀌고 소금섭취량이 늘어나면 고혈압같은 성인병이 생긴다
세계에서 가장 짜게먹는 사람들은 염장식품이 발달한 핀란드사람들과 일본 북부 아키타 주민들이다
핀란드에서는 소금의 피해를 알고 2000년 경부터 소금적게먹기 운동을 대대적으로벌려 나트륨 섭취량을 3,200mg에서 2,400mg으로 줄였고, 그 결과 핀란드사람들의 심혈관질환 사망자도5분의 1로 줄었다.
소금에 절인 생선과 채소 짠 된장국을 즐겨먹는 일본 일본 북부지방 아키타 주민의 1일 소금 섭취량은 25g정도다. 성인 40%가 고혈압 환자이고 사인死因은 중풍이 최고였다, 그래서 아키타 주민들도 최근에 소금을 적게먹는 식생활운동을 벌려 많은 성가들을 내고 있다 . 현재 일본은 소금 섭취량이 1970년경에는 15g이었던 것이 1980년대에는 12g,그리고 지금은 10g정도로 줄이는 식생활 켐페인을 벌리고있다.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소금 양은 1.3g에 불과
1) 소금 결핍증
단기적으로 염분이 부족하면 소화액 분비가 잘 안돼서 식욕감퇴가 일어나고, 급격하게 땀을 많이 흘려 염분을 많이 소모하거니 염분부족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의욕상실과 전신 무기력, 만성피로나 정서적인 불안 등 육체적인 증상과 정신적인 증상모두 나타날 수 있다
1) 소금과 수박 오이, 토마토 복숭아 설탕
칼륨 함량이 많은 오이, 토마토 복숭아, 수박에 소금을 뿌려 먹으면 소변으로 나트륨이 배설되서 삼투압균형과 산알칼리 평형을 유지 할 수 있다. 또 소화를 잘되게한다 동남아에서는 과일에 설탕대신 소금을 뿌려먹는 이유
설탕에 약간의 소금을 더하면 설탕의 단맛이 더 진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