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
– 최고의 봄철 해독 채소
학명 : Oenanthe javanica (Blume) DC.
공자, 미나리 반찬 개반찬, 알칼리성 식품, 수근(水芹), 청열이수, 열독, 기관지, 폐, 소양인, 비타민, 미네랄, 고혈압, 동맥경화, 두통, 해독작용, 퀘르세틴, 캠페롤, 항암, 식이섬유, 대소변, 칼륨, 칼슘, 통풍, 쑥갓, 생선, 복어 |
1. 미나리와 관련된 일화
미나리는 쌍떡잎식물 미나리과의 다년생초본으로 한국과 중국, 대만, 일본, 인도 등 아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되어 자라난다. 한의학에서는 수근(水芹), 수영(水英)이라 부르며 잎과 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입춘에 무와 미나리로 건강 음식을 만들어 먹었으며 공자도 미나리를 즐겨먹어 그가 쓴 <시경(詩經)>에는 “솟아오르는 샘물에 미나리를 수확하네.”라는 구절의 시가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고려사(高麗史)>에 ‘근전(芹田)’이라는 구절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도 이미 미나리를 식용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미나리는 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잘 자라고 쉽게 구할 수 있어 ‘미나리 반찬 개반찬’이라는 말도 있다. 주로 논에서 많이 자라며 이른 봄부터 채취한다. 특유의 향을 지닌 알칼리성 식품으로 삶거나 데쳐서 나물, 물김치 등으로 먹으면 봄철에 입맛을 돋우어 주며 비타민 B가 풍부해 춘곤증을 이겨내기에도 안성맞춤인 나물이다.
2. 한의학에서 보는 미나리
한의학에서는 미나리를 수근(水芹), 수영(水英), 근채(芹菜), 수근채(水芹菜), 근전(芹田), 초규(楚葵)등으로 부르며 약용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미나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수근(水芹, 미나리)은 성질이 평(平)하고 차다(寒)고도 한다. 맛이 달고 독이 없다. 번갈(煩渴, 갈증)을 멎게 하고 정신이 좋아지게 하며 정(精)을 보충해 주며 살이 찌고 건강해지게 한다. 술을 마신 뒤에 생긴 열독(熱毒)을 치료하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여자의 붕루(崩漏), 대하(帶下)와 어린이가 갑자기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일명 수영(水英)이라고도 하는데 물에서 자란다. 잎은 천궁과 비슷하고 흰 꽃이 피며 씨는 없다. 뿌리도 역시 흰 빛이다. 김치와 생절이를 만들어 먹는다. 또한 삶아서 먹기도 한다. 생것으로 먹어도 좋다. 또한 5가지 황달도 치료한다.”
미나리는 찬 성질을 갖고 있어 열을 식혀주고 소변을 내보내는 청열이수(淸熱利水) 효능이 있다. 주로 열로 인해 가슴이 답답하고 입이 건조한 증상을 다스리며 음주 후의 열독(熱毒)이 있는 경우와 열이 많은 소아가 먹어도 좋다. 또한 미나리는 기관지와 폐를 보호하고 가래를 없애주는 효능도 있다.
사상체질 중에서는 소양인에게 잘 맞는 음식이다. 소양인은 열이 많은 체질이며 신장 기능이 약하여 소변이 잘나가지 않는 질병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찬 성질이 있으면서 이뇨작용을 돕는 미나리가 잘 어울린다.
3. 미나리의 성분과 효능
1)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 혈액을 맑게 유지, 해독작용
미나리는 비타민 A, 비타민 B1, B2, 비타민 C와 각종 미네랄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이다. 미나리는 칼륨, 철분, 인, 황,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도 풍부하여 체내에서 알칼리성을 나타내어 혈액이 산성화되지 않도록 돕는다.
또한 미나리의 독특한 정유 성분과 식물섬유소, 엽산 등이 혈액을 깨끗하게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등을 예방하며 정신을 맑게 유지하여 두통과 빈혈을 개선한다.
이 외에도 미나리는 해독작용이 있어 각종 중금속과 독성 물질을 흡수하여 체외로 쉽게 내보내준다. 예로부터 복어탕에 미나리를 넣어 먹는 것도 복어의 독을 중화하기 위해서이다.
2) 퀘르세틴(quercetin), 캠페롤(kaempherol) - 항암 효과
미나리에는 식물성 색소인 퀘르세틴(quercetin)과 캠페롤(kaempherol)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두 성분이 함께 작용하여 항암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퀘르세틴은 항산화물질로 체내의 세포가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고 항염증효과가 있어서 유방암, 대장암, 난소암, 위암, 방광암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캠페롤은 단백질의 인산화를 감소시켜 암세포 진행을 막아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캠페롤과 퀘르세틴이 같이 작용하면 암세포의 증식억제 효과가 더욱 증가된다. 미나리에는 이 두 가지 성분이 모두 들어있으므로 암 예방에 탁월한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3) 식이섬유 – 대소변을 원활히
신장염이나 방광염으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미나리를 먹으면 이뇨작용을 도와준다. 또한 미나리의 풍부한 식이섬유가 대장의 내벽을 자극하여 장운동을 촉진시키므로 변비가 있는 사람이 먹으면 대변이 잘 나오게 되어 좋다.
4) 칼륨, 칼슘 - 통풍 예방
통풍 예방에 좋은 대표적인 성분은 칼륨, 칼슘 그리고 수분이다. 그 중 칼륨과 칼슘은 신체의 산성화를 막아주고 통풍을 유발케하는 질환 중 하나인 고혈압을 막아준다. 미나리에는 이러한 칼륨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미나리는 수분함량이 무려 93%나 되어 체내의 요산을 배출하고 소변을 희석시켜 결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와 반대로 통풍에 좋지 않은 3가지 요소는 높은 열량, 단백질, 지질이다. 그런데 미나리는 100g당 열량이 겨우 16kcal 정도이며 단백질의 함량은 2%, 지질 0.9%정도가 함유되어 있을 뿐이므로 통풍치료를 위한 음식이라고 말 할 수 있다.
4. 미나리를 먹을 때 주의할 점
1) 미나리를 많이 먹으면 안되는 경우
미나리는 차가운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평소에 몸이 차고 수족냉증이 있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대변이 쉽게 묽어지는 소음인의 경우 먹지 않는 편이 좋다. 또한 미나리의 강한 맛과 향이 위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위궤양이 있는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2) 미나리를 맛있게 먹는 방법
미나리의 떫은 맛은 살짝 데친 후 물로 헹구면 쉽게 제거되어 먹기 편해진다. 또한 미나리를 끓는 소금물에 데치면 그냥 먹는 것보다 항암효과가 있는 성분인 퀘르세틴과 캠페롤의 양이 60% 정도 증가한다.
5. 미나리와 잘 어울리는 음식궁합
1) 미나리와 쑥갓
미나리와 쑥갓은 맛과 향이 유사하여 혼동되기도 하는 재료이다. 미나리와 쑥갓을 함께 먹으면 고혈압 초기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데, 이는 쑥갓에 있는 마그네슘 성분이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내려주기 때문이다.
2) 미나리와 생선, 복어
미나리는 중금속을 해독하는 효과가 있어 금, 은, 구리, 주석, 철 등의 중금속을 체내에서 제거해주며 생선의 독을 해독하기도 한다.
특히 복어는 알, 간, 혈액 등의 부위에 인체에 유해한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이라는 독성물질이 들어있어 잘못 먹으면 사망할 수도 있다. 복어에 미나리를 넣어 함께 먹으면 복어의 독이 중화되며 미나리 특유의 향 덕분에 맛도 향상되어 더욱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