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치
모성애가 강화고 두뇌발달과 치매예방에 좋은 갈치
1. 음식물에 얽힌 일화
갈치는 농어목 갈치과의 바닷물고기
훌쭉하고 길면서 은백색을 띈 몸
다 자란 갈치의 몸길이는 1.5m
2~3월경 우리 제주도 부근바다에서 있다가 4월에 북쪽으로 이동해 여름에 남해, 서해, 중국 근처 연안에서 산란
신라시대에 칼을 ‘갈’이라고 불렀는데 그때 갈치라고 불럿을것으로 추측
갈치는 여름 산란기를 끝낸 가을이 가장 맛있다
11월까지 많이 잡히는데, 월동을 준비하는 이 시기에 살이 가장 많이 오름
칼처럼 생겼다해서‘도어(刀魚)‘검어(劍魚)’또 허리띠 같아서 ‘대어(代魚)’ 칡넝쿨 처럼생겻다고해서 ‘갈치(葛侈)’
갈치는 물고기중에 모성애가 가장뛰어나다
암컷은 산란후 부화할 때까지 알 곁에서 먹이를 먹지도 않고 보호 이런 습성 때문에 부화가 될 때쯤에는 몸이 매우 마른다
우리 속담에 ‘갈치가 갈치꼬리 문다.’는 말은
갈치는 다른 갈치의 꼬리를 잘라먹는 습성이 있는것을 빗댄말로 친한 사이에 서로 모함한다는 뜻
음식을 많이 먹어도 배가나오지 않은 사람을 사람을 갈치의 가느다란 배를 비교해 ‘갈치배’라고한다
2. 한방 약재명 (이명)
도어(刀魚), 검어(劍魚), 군대어(裙帶魚), 대어(帶魚), 갈치어(葛峙魚), 갈치(葛侈),
3. 약성 (기미)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합니다.
4. 한방 서적 인용
5. 한의학적 효능, 효과
자양강장(滋養强壯) 효능이 특출하여 오장육부(五臟六腑)건강하게하고 기혈(氣血)을 보하며 기력을 돋워주는 좋은 음식물
위장을 건강하게하여 식욕을 소화와 촉진
5‘. 사상체질
먹으면 좋은 체질 : 태음인
성질이 따뜻한 갈치는 상대적으로 몸이 차게 되기 쉬운 태음인에게 잘 맞습니다.
6‘. 성분 설명
갈치는 흰 살코기류 생선 가운데 수분이 적고 지질 함량이 높은 편
지방은 지느러미 부근에 많고 당질은 조금있어 갈치 고유의 맛
7. 서양의학적(약리학적) 효능, 효과
1) 소화촉진 글루탐산(glutamic acid)과 호박산
글루탐산(glutamic acid)과 호박산(succinic acid)이 감칠맛을 내주기 때문에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 될 때 입맛을찾아줌
2) 두뇌발달 치매 심혈관 DHA와 EPA
갈치는 DHA와 EPA 같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두뇌발달과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어른들의 치매 예방
인체에 나쁜 콜레스테롤을 없애 심혈관 질환인 고혈압 동백경화 심장병 중풍같은 성인병 예방하는 데에도 탁월
3) 신경안정
갈치에는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과 칼슘이 많이 들어있어 평소에 신경이 예민하고 잘 긴장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진정시켜준다
4) 성장발육에 좋고 골다공증 예방
칼슘이 많은 갈치는 성장기 아이들의 아이들
인, 나트륨 같은 무기질이 많아 영양분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골다공증과 구루병에 도움
라이신이 많아 성장 발육을하는 어린이에 좋은 음식
5) 항암효과
갈치의 표면의 반짝이는 은빛 지방층에서 추출한 물질이항암제인 6-TG(6-티오구아닌)은 인체의 백혈구와 혈소판의 수치를 증가시켜 급성 백혈병과 융모암, 위암 등에 효과, 갈치의 표면의 반짝이는 은빛 비늘은 ‘구아닌(guanine)’성분으로 인조 진주나 화장품 원료로 이용
8. 음식의 부작용, 금기
갈치 표면의 은빛 비늘의 성분은 구아닌(guanine)
소화도 잘 안 되고 영양도 없기 때문에 깨끗이 제거
구아닌을 많이 먹으면 복통이나 두드러기
갈치를 많이 먹으면 설사
10. 음식궁합이 잘 맞는 쌍
1) 갈치와 호박 목이버섯
갈치 표면의 은빛 비늘의 성분은 구아닌(guanine)
호박잎으로 긁어내면 잘 없앨수 있고 비타민과 싱이섬유당성분의 호박과 단백질이 풍부한 갈치를 같이 먹으면 맛이 좋아지고 소화도 잘된다,
갈치와 식이섬유가 풍부한 목이버섯은 여성의 생리중에 일어나는 피부질환과 생리통 생리불순에도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