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5-03-11 11:18
카레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조회 : 25  

카레

 

- 노란색 커큐민 성분은 치매 예방의 최고음식

 

종합 향신료, 강황, 카레라이스, 모든 체질, 커큐민(curcumin), 항산화, 항암 효과, 전립선암, 뇌종양, 두뇌 건강 유지, 치매 예방, 다이어트 효과, 항염증, 진통 작용, 성인병 예방, 생강, 생선, 육류, 요구르트, 치즈

 

1. 카레와 관련된 일화

카레는 각종 향신료와 색소, 조미료를 혼합한 종합 향신료의 하나이다. 원산지는 인도이며 커리(curry)’라는 말은 인도의 국물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하였다.

 

무더운 날씨로 인해 체력이 떨어지고 입맛을 잃었을 때 카레를 먹으면 식욕이 되살아난다. 다양한 향신료를 조화시켜 만든 요리인 카레는 더위가 심한 인도의 환경에서 탄생하였다. 40°C가 넘는 극심한 더위에 시달리다 보면 식욕을 잃기 쉬우며 음식도 쉽게 상하여 식중독과 전염병에 걸리기 쉽다. 이런 환경에서 카레는 향신료가 풍부하여 식욕증진 효과와 살균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어 사랑받게 되었다.

 

인도에서 만드는 카레는 지역마다 다양하지만 하지만 대개 17 이상의 재료가 들어가고 북쪽 지방은 하루에 5g 정도, 남쪽은 20g 정도의 카레를 먹는다고 한다. 카레에 들어가는 다양한 향신료 중에서 강황, 울금, 진피, 사프란은 특유의 노란 색을 띄고 생강, 후추, 겨자, 고추, 월계수, 마늘은 매운 맛을 내며 회향, 정향, 계피 같은 방향성 향신료는 특유의 향을 더한다.

 

인도 사람들은 카레의 주된 재료인 강황을 만병통치약으로 여겨 자주 애용한다. 주로 음식을 잘못 먹어 배가 아플 때 먹으며 여행을 갈 때도 챙기는 상비약이다. 피부에 상처가 나면 강황 가루를 물에 개어 바르기도 한다. 실제로 강황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세포의 손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우리가 접하기 쉬운 카레는 밥과 함께 먹는 카레라이스이다. 카레라이스는 일본인들이 인도의 카레에서 힌트를 얻어 만든 요리로 고기와 채소를 넣어서 익힌 국물에 카레가루를 섞어서 밥에 얹어 먹는 형태이다. 우리나라는 1940년경 일본을 통해서 카레를 접했기 때문에 일본식 카레라이스를 먹게 된 것이다.

 

2. 한의학에서 보는 카레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카레에 들어가는 강황(薑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강황(薑黃)은 성질은 뜨거우며 맛은 맵고 쓰며 독이 없다. 각종 덩어리진 질환(징가(癥瘕), 혈괴(血塊), 옹종(癰腫))을 낫게 하며 월경이 잘 나가게 한다. 다쳐서 어혈이 진 것을 풀리게 한다. 차가운 기운을 헤쳐준다.”

 

강황은 성질이 따뜻하여 기와 혈을 소통시키고 진통 작용을 한다. 강황이 들어간 카레는 체질 구분 없이 모든 체질에 좋다. 카레의 쓴 맛은 열을 내리는 성향이 있으며 방향성을 띤 매운 정유 성분은 더운 기운을 돋워주는 따뜻한 성향을 띤다. 이와 같이 카레는 서로 반대되는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체질이건 구애받지 않고 먹을 수 있다.

 

3. 카레의 성분과 효능

1) 커큐민(curcumin)

카레의 주 원료인 강황, 울금에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이며 노란빛을 내는 색소성분인 커큐민이 들어있다.

 

항산화, 항암 효과

커큐민은 폴리페놀 계열의 항산화물질로 장에서 흡수되면서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으로 변환되어 항산화, 항암 효과를 발휘한다. 이 성분은 우리 몸의 유해한 활성산소를 없애주어 노화를 방지하고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카레의 커큐민은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녹차의 카테킨, 고추의 캡사이신과 비교해 보아도 항산화력이 가장 강하다.

 

또한 커큐민 성분은 암세포의 발생을 저해하는 항암효과가 있는데, 특히 정상세포에는 전혀 독성이 없으면서도 암세포만 스스로 괴사하게끔 유도한다. 전립선암,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혈액암(백혈병), 관절염을 유발시키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두드러지며 치료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삼성 서울 병원의 비뇨기과 연구팀은 전립선암을 유발한 쥐에게 커큐민을 10주간 투여 한 결과 커큐민을 섭취한 쥐에서 전립선암의 전이가 41% 정도 눈에 띄게 억제된 것을 발견하였다.

 

커큐민은 뇌종양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건국대 의대 이영한, 신순영 교수팀과 생명공학부 임융호 교수팀은 커큐민이 뇌종양의 일종인 신경교아세포종(glioblastoma)의 세포가 증식하는 것을 막는다고 미국암학회 학술지 암연구(Cancer Research)'에 발표했다.

 

커큐민 외에도 카레의 터핀(terpenoid), 페놀, 베타카로틴 등의 성분도 항암효과를 도와준다.

 

두뇌 건강 유지, 치매 예방

커큐민의 항산화 작용은 뇌세포를 건강하게 유지하여 인지능력도 개선시켜준다. 치매는 활성산소로 인하여 신경세포가 파괴되면서 발생하는데 커큐민의 항산화 작용으로 활성산소가 제거되면 치매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실제로 인도는 치매 발생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나라이다. 카레를 즐겨 먹는 인도인은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율이 미국인의 약 1/4정도 수준에 불과하다.

 

독일의 신경과학 의학 연구소 연구팀은 카레는 신경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고 뇌 손상을 치료하는 효과가있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 건강을 회복시킨다고 발표하기도 하였다. 또다른 인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카레 섭취량이 많은 그룹의 인지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효과

커큐민은 체내에 지방이 쌓이는 것을 억제하여 체중이 늘어나는 것을 예방해주고 지방 분해를 촉진해주므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

 

미국 터프츠 대학은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한 그룹에는 고지방 음식만, 다른 한 그룹은 고지방 음식과 커큐민을 500mg씩 먹도록 하였다. 12주 후 결과는 고지방 음식과 커큐민을 함께 먹은 쥐는 체중이 크게 늘지 않고 혈중 콜레스테롤도 높아지지 않았다. 고지방 음식을 섭취하면 신생 혈관이 생기면서 지방 조직이 확장되어 체중이 증가하는데 커큐민을 먹은 쥐는 신생 혈관의 형성이 덜 생기면서 지방 축적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이 내용은 영양학 저널(Journal of Nutrition)’에 발표되기도 하였다.

 

2) 항염증 작용, 통증 제어

카레는 항염증, 진통 작용이 있어 때문에 상처나 염증, 통증 부위에 직접 바르거나 인후가 아플 때 카레를 물에 타서 마시면 효과가 있다. 카레는 타박상으로 근육이 손상되었을 때 먹으면 통증을 줄여준다.

 

3) 성인병 예방

카레는 몸을 따뜻하게 하여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 주므로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식품이다. 또한 카레 가루에는 염분이 거의 들어 있지 않으면서 독특한 향과 맛이 입맛을 돋우기 때문에 염분을 제한해야 하는 고혈압, 신장병 환자에게 적절한 음식이다.

 

4. 카레를 먹을 때 주의할 점

1) 주의할 점

카레에는 자극이 강한 향신료 성분이 많아 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임신한 여성의 경우 출산을 자극해서 임신 상태를 불안하게 만들 수도 있다. 게다가 카레의 강한 자극 성분들이 위와 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위염, 역류성 식도염, 위산 과다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또한 카레 노란 색소성분은 치아에 착색되어 치아가 누렇게 변색 될 수 있다. 따라서 카레를 먹은 후에는 바로 양치질을 하는 것이 좋다.

 

2) 카레 제대로 먹기

카레는 흡수율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지방이 있는 우유,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을 곁들여 먹으면 흡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자극적인 향을 완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자극적인 음식을 먹기 부담스러운 사람이나 어린이들도 편하게 잘 먹을 수 있다.

 

5. 카레와 어울리는 음식 궁합

1) 카레와 생강

생강은 신진대사를 촉진해주는 효능이 있으며 카레의 주재료인 강황, 울금 또한 생강과() 식물로서 막힌 것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카레와 생강을 함께 먹으면 항암효과가 상승하고 어혈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2) 카레와 생선, 육류

카레와 생선, 육류는 궁합이 잘 맞는다. 카레가루와 밀가루를 함께 섞어 생선이나 육류에 입힌 뒤 튀기게 되면 생선 비린내와 육류의 잡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맛이 더욱 좋아진다.

 

3) 카레와 요구르트, 치즈

인도 사람들은 카레의 자극적인 맛 때문에 혀가 얼얼하거나 매운 것을 못 먹는 사람을 위해서 요구르트와 치즈를 곁들이기도 한다. 이렇게 카레를 요구르트나 치즈와 같이 먹으면 매운 자극적인 맛이 줄고 독특한 향미가 생겨 먹기 좋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