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TV쇼 진품명품- 민속품 약연 (2019-05-12)
  
 작성자 : 이광연한의원
작성일 : 2019-05-21     조회 : 3,514  


의뢰품은 약 약()자에 벼루 연()자를 써서 약연(藥硏)입니다. 약재를 가루로 빻거나 즙을 내는 의료기구입니다손잡이가 달린 건, ‘연알또는 공이’‘옹이라고 합니다.

 

약연의 사용법 

 

 축을 끼운 원형의 연알을 앞뒤로 굴려서 빻는 도구입니다여기엔 과학적 원리를 적용한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있습니다

 약연의 안쪽 파인 부분을 보면 가운데가 가장 낮고 양쪽 끝으로 갈수록 높아지죠연알이 곡선 상에서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작한 건데요적은 힘으로도 쉽게 약재를 빻을 수 있도록 한 겁니다

 

약연은 동양의학의 기본원리인 음양법칙에 부합되게 만들어졌다고 보는데요여성은 음()이고남성은 양()에 속하는데 음은 정()하고 양은 동()하다고 하죠

 움직이지 않는 연은 대지를 뜻하는 여성움직이는 연알은 모습이 태양과도 비슷하고 남성을 의미합니다우리 조상들은 음과 양의 이상적인 화합에서 바른 것이 생기고 더불어 약도 잘 갈린다고 본 겁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선 약연이라고 부르지만중국에선 배 선()자를 써서 약선(藥船)이라고 합니다모양이 배처럼 생겨서 붙인 이름이고요

 약연은 넓은 의미로는 약재를 가루로 만들던 맷돌절구 등 모든 기구를 포함시킬 수 있지만좁은 의미로는 의뢰품과 같은 배 모양의 약연만을 가리킵니다좀 더 미세하게 갈 때 사용하는 사발 모양의 약연은 유발이라고 하고요



철과 닿으면 효과가 떨어지는 약재들이 있습니다한의학에서는 기철(忌鐵이라고 하는데요철과의 접촉을 피하라는 뜻입니다특히 예전의 철은 지금의 스테인레스보다 산화가 잘되기 때문에 녹이 잘 슬었겠죠그래서 즙이 많은 약재들은 금속으로 만든 약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좋습니다.

 철과 닿으면 효과가 떨어지는 약재는 인삼과 생지황하수오가 대표적인데요인삼특히 밭에서 캐서 말리지 않은 수삼이 금속과 닿으면 약효가 줄어들게 됩니다생지황과 하수오도 금속과 닿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강도가 단단한 주사석결명산골과 같은 약재들은 나무소재로 만든 약연과는 잘 맞지 않습니다.

  

독약이나 극약용은 섞이지 않도록 표시를 해두기도 했죠그리고 건강과 장수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약연 외부에 십장생물고기토끼 등 그림을 조각하거나 수복강녕 같은 글자를 새기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