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에 속이 쓰리고 아파요, 소화성 궤양
한밤중에 속이 쓰리고 신물이 올라와 잠을 깬다면, 위·십이지장 소화성 궤양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오늘은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1명은 경험하는 소화성 궤양에 대해 알아보자.
소화성 궤양이란
음식물이 위장으로 들어오면, 위에서는 강력한 소화력을 띤 위산과 펩신을 분비한다. 이것은 위장 자체도 소화시킬 정도로 강하지만, 다행히 위장에서는 위장을 보호하는 점액이 분비되고, 면역력도 강해서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의학적으로 위산과 펩신의 분비와 관련되는 것을 공격인자, 위장 점막의 방어력과 관련되는 것을 방어인자라고 한다. 건강할 때는 공격인자와 방어인자 사이에 균형을 이루지만, 어떤 원인으로 인해 공격인자가 강해지거나 방어인자가 약해지면 궤양이 생긴다. 이를 소화성 궤양이라 하며, 주로 발생하는 부위는 위와 십이지장이다.
소화성 궤양의 가장 흔한 증상은 공복시 윗배가 쓰리고 아픈 것이다. 밤에 통증으로 잠에서 깨기도 하지만, 제산제를 먹으면 완화된다. 또 신물이 넘어오고, 오심, 구토, 식욕부진, 복통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궤양 부위 출혈이 심하면, 피를 토하거나 검은색 대변을 보기도 한다.
소화성 궤양의 원인
① 정신적 요인 : 스트레스는 위 점막의 방어인자를 약화시키고, 위액 분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원인이다. 치료 후에도 재발 방지를 위해 스트레스 해소와 적절한 휴식이 꼭 필요하다.
② 식사 요인 : 폭식, 급히 먹는 습관, 불규칙한 식사, 지나치게 맵고 자극적이고 뜨겁거나 찬 음식, 섬유소가 많은 식품, 향신료, 커피, 탄산음료 등은 궤양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한다.
③ 약물 및 기타 요인 : 진통제, 해열제, 거담제, 항생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남용이나, 지나친 흡연과 음주도 궤양의 중요한 원인이다. 특히 흡연은 위산 분비를 촉진시키고, 위식도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하므로 반드시 금연한다.
④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감염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산 분비를 증가시키고, 위와 십이지장 벽의 방어기전을 약하게 만들어 궤양을 일으킨다. 가족 내 감염을 막기 위해 식기를 따로 쓰도록 한다.
소화성 궤양의 식이요법
① 위장 내 정체시간이 짧고, 영양가가 풍부한 식품이 좋다. 정제하지 않은 곡류(현미, 통밀, 오트밀, 보리)는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 위장에 부담이 된다. 따라서 정제된 곡류, 두유, 두부와 같은 부드러운 식품을 익혀서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다.
② 위장이 공복 상태가 되지 않도록 시간을 정해서 먹는다.
③ 거친 음식, 딱딱한 음식, 말린 음식, 튀긴 음식 등은 가급적 피하고, 고춧가루, 후추, 겨자 등 자극성이 있는 조미료는 궤양의 상처 부위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금한다.
④ 궤양의 빠른 치유를 위해서 단백질, 철분, 비타민C를 섭취한다.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 등 단백질 식품과 철분이 많이 함유된 간, 달걀노른자, 푸른잎 채소, 해조류, 또 비타민C가 풍부한 딸기, 사과, 피망, 시금치, 케일, 양배추, 부추, 고구마, 감자 등을 충분히 먹는다.
⑤ 우유는 일시적으로 위산을 중화하여 증상을 완화시키지만, 나중에는 칼슘 성분이 오히려 위산 분비를 촉진하므로 주의한다.
⑥ 자기 전에 음식을 먹으면 위산 분비를 자극하기 때문에 야식은 금한다.
소화성 궤양에 좋은 음식
① 감자 : 감자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위산을 중화시켜 위염과 위궤양 개선에 효과적이다. 감자의 알기닌 성분은 위벽에 보호막을 만들어, 출혈이나 상처를 회복시킨다. 또한 감자 생즙에는 경련을 진정시키는 아트로핀이 함유되어 있어서, 궤양의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감자 껍질을 벗기고 강판에 갈아서 그릇에 담아두면 전분이 가라앉는데, 위에 고인 물은 버리고 전분을 복용한다. 보통 하루에 감자 1개 분량의 전분을 2번 공복에 나누어 먹으면 된다. 감자를 쪄먹거나 수프로 끓여서 먹어도 좋다.
② 양배추 : 양배추에는 항염, 항궤양 작용을 하는 비타민U와 혈액 응고 작용을 돕는 비타민K가 함유되어 있어, 염증과 궤양이 생긴 점막을 재생시키고 출혈을 치료한다. 이 비타민들은 수용성이고 열에 잘 파괴되므로, 양배추를 날것으로 먹거나 생즙을 내서 하루 한 잔씩 마시면 좋다. 찜통에 5분 정도 쪄서 먹어도 괜찮다.
③ 연근 : 연근의 뮤신 성분은 단백질과 녹말의 소화를 돕고, 위벽을 보호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연근에는 수렴, 지혈 작용이 강한 타닌 성분이 들어 있어서, 염증이나 궤양으로 인한 출혈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따라서 평소에 연근 반찬을 자주 먹도록 권한다.
④ 브로콜리 : 브로콜리는 양배추보다 훨씬 많은 양의 비타민U를 함유하고 있다. 비타민U는 위 점막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위벽의 상처를 재생시켜 주기 때문에, 염증과 궤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브로콜리의 설포라판 성분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죽이는 효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