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針) 치료에 관한 궁금증 Q&A
한의원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받는 치료가 침을 이용한 치료이다. 한 번쯤 발목이나 허리를 다쳐서 침을 맞아본 경험이 있을 텐데, 오늘은 침 치료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침의 역사
침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지만, 석기시대부터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시대에 사용되었을 침을 ‘폄석’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돌이나 옥을 갈아서 송곳이나 쐐기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피부를 자극하거나, 얕게 찔러서 피를 내거나, 고름을 짜내는 데 쓰였고, 그러한 시술의 형태가 점점 발달하면서 오늘날의 침 치료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침의 역사를 보면, 신라 문무왕 12년(672)에는 침, 뜸과 서적을 중국에 수출하였다는 기록이, 신문왕 12년(692)에는 의학교를 설치하여 의사를 전문적으로 양성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의 침술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조선시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짧은 시간에 많이 발전했다.
침의 효능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본질인 기혈(氣血)이 운행하는 통로를 경락(經絡)이라 하고, 그중에서도 중요한 거점을 경혈(經穴)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경락이 지하철이라면 경혈은 지하철역인 셈이다. 그런데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기혈의 운행이 비정상적으로 되거나 정체되면 질병이 생기게 된다. 침은 이러한 흐름을 정상으로 조절해서 질병을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침은 뜸에 비해서 급성으로 오는 질환에 치료 효과가 좋다. 특히 운동이나 보행 중에 발목, 무릎, 허리 등을 삐끗하여 발생하는 급성 염좌나 근육통, 관절통에 효과가 뛰어나고, 급성 염증, 급체, 갑자기 손발에 마비가 오거나, 중풍, 떨림 등에도 쓰인다.
침은 얼마나 자주 맞는 게 좋을까
체력이 강한 사람은 매일 침을 맞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침은 부분적으로 기운을 없애는 사법(瀉法)이기 때문에, 체력이 약한 어르신들은 매일 치료 받기가 힘들면 2~3일에 한 번 정도 몸 상태를 보면서 침 치료의 횟수를 정하는 것이 좋다.
침 몸살이란
침 몸살이란 침을 맞고 난 후에 무기력하고 몸이 힘들어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말한다. 주 증상으로는 어지럼증, 울렁거림, 몸 여기저기 발생하는 통증 등이 있다. 대개는 평소에 만성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는 분들, 빈혈, 저혈압, 침에 대해서 극도로 공포를 느끼는 분들, 혹은 침을 처음 맞거나 오랜만에 맞는 분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몇 분 안에 없어지나, 길게 가더라도 몇 시간이나 하루 정도면 증상이 없어지니까 그다지 걱정할 것은 없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몸이 쇠약해진 경우나, 음주, 과로, 과식, 금식 후, 심하게 갈증이 날 때, 불안 증세가 심할 때, 장시간 차를 타고 몸이 안정되지 못할 때는 침 치료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침 치료 후 목욕은 언제 해도 될까
침을 맞은 후에 바로 샤워나 목욕하는 것은 좋지 않다. 침을 맞느라 기운이 빠진 상태에서 체력이 더 떨어져 어지러울 수 있고, 또 침을 맞은 자리에 감염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샤워나 목욕은 침을 맞고 2시간 정도 뒤에 하는 것이 좋다.
침 치료 후 피가 난다면
침을 맞은 부위에서 출혈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오히려 어르신들은 나쁜 피가 나온다고 생각해서 시원하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침을 놓는 혈자리는 혈관과 신경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출혈이나 멍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혈관은 탄력성이 뛰어나 잠깐의 압박으로 곧 지혈이 되고, 멍이 들었다고 하더라도 3~5일 정도면 대부분 사라진다. 따라서 침을 맞고 피가 나와야 하는 것은 아니고, 출혈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해가 되는 것 또한 아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