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신경실조증 잠잘자기 장마철 관절염 장마철건강관리 저신장증
저혈압 족저근막염 주부습진 중이염 지방간
진전증(떨림증) 척추관협착증 척추분리증 척추측만증 천식
축농증 춘곤증 측부인대손상 치매 코피
탈모증 턱관절장애 테니스엘보.. 통풍 파킨슨병
폐질환 한방상식 항강증 혈뇨 화병
VDT증후군
 
작성일 : 18-02-03 11:30
저신장증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조회 : 99,479  

【 저신장증 】

● 관련상식
  ▶ 갑상선질환
  ▶ 비만

▶ 성장과 저신장증

성장이란 세포의 증식과 비대로 신체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이다. 체중과 신장증가는 어린이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신생아는 평균 50cm의 신장을 갖고 태어나서 각 시기별 성장 정도가 약간 다르다. 올바른 성장이 진행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6~12개월마다 키와 체중을 측정하여 어린이 발육 표준치와 비교한다.

의학적으로 키가 작다는 것은 같은 나이와, 성별의 아이들의 평균키보다 2표준편차 이상 작을 때를 말한다. 혹은 어린이 100명 중 3번째 이하로 키가 작을 때 저신장이라고 한다.

또는 3세 이후의 아동이 같은 나이의 평균키보다 약 10cm이상 작으면 키가 작다고 한다.


최종 성장 예상치

남자

{어머니 신장(cm) + 아버지 신장(cm) + 13cm} / 2

여자

{어머니 신장(cm) + 아버지 신장(cm) - 13cm} / 2


[나이별, 성별 표준성장]

나이

남아

여아

체중(kg)

신장(cm)

체중(kg)

신장(cm)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6

21.41

3.1

115.8

4.8

20.68

2.8

114.7

4.7

7

24.72

4.3

122.4

5.7

23.55

3.8

121.1

6.1

8

27.63

5.4

127.5

6.1

26.16

4.9

126.0

6.1

9

30.98

6.4

132.9

6.0

29.97

6.1

132.2

6.4

10

34.47

7.5

137.8

6.4

33.59

7.0

137.7

7.0

11

38.62

8.6

143.5

7.1

37.79

8.3

144.2

7.6

12

42.84

9.4

149.3

7.8

43.14

8.6

150.9

7.2

13

47.2

9.9

155.3

8.4

47.01

8.3

155.0

56.1

14

53.87

10.3

162.7

7.1

50.66

8.0

157.8

5.5

15

58.49

10.4

167.8

6.5

52.53

7.8

159.0

5.2

16

61.19

9.5

171.1

5.8

54.35

7.7

160.0

5.2

17

63.20

9.8

172.2

5.9

54.64

7.2

160.4

5.2


▶ 저신장증의 원인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유전 23%

영양 31%

운동 20%

환경 16%

기타 10%


[특별한 질환 없는 경우] - 전체 저신장증의 80%.

① 가족성 저신장증 : 유전적으로 가족 중 키가 작은 사람이 있다.

출생부터 작은 경우가 많으며 연간 성장은 정상과 같고 성인이 된 후 키가 정상인 보다 작다.


② 체질성 성장지연 : 출생시 체중과 키는 정상이나 1~2세 사이에 발육이 잘 되지 않으며, 사춘기가 정상인보다 1~2년 늦게 시작되어 사춘기 급성장이 일어나 성인이 되어서는 정상이 된다.

부모 중에 늦게 자랐다는 가족력이 있고 흔히 골연령이 나이에 비해 2~4년 어리다.

 

[신체 질환에 의한 경우] - 전체 저신장증의 20%

① 호르몬 장애 - 성장호르몬 결핍 (저신장아의 10명중 1명), 갑상선 질환

② 만성 질환 - 선천성 심장병, 만성 폐질환, 간질환, 신질환

③ 염색체 질환 - 터너 증후군, 러셀쉴버 증후군

④ 자궁내 성장지연 - 임산부의 영양장애, 불충분한 산전관리, 약물중독, 태반의 순환, 기능장애

⑤ 척추 측만증 - 허리가 S자형으로 휘어지는 척추의 변형. 성장이 빠른 10~14세 여아에 많다.

⑥ 연골무형성증 


▶ 진단

① 골 연령 측정 - 손과 손목, 무릎의 X-ray촬영


② 염색체 검사 - 여자 어린이의 경우 성염색체 이상 질환인 터너 증후군의 진단

③ 성장호르몬, 성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검사

④ 뇌 단층 촬영 - 시상하부나 뇌하수체의 구조 이상이나 병변을 발견

⑤ 일반 혈액, 소변검사 - 영양상태, 빈혈, 신질환, 장질환, 대사질환 등을 알아보기 위함.


▶ 양방치료

[성장호르몬 투여]

① 방법 : 1주일에 6 ~ 7회 피하 주사하며, 투여시기는 취침 30분전이 좋다. 

치료를 시작하면 6개월 이상, 2년~3년 정도 장기적인 치료를 지속시켜야한다.

2~3개월 간격으로 성장률을 관찰해야 하며, 6개월 간격으로 갑상선 기능검사를 시행한다.

비용이 연간 천만원 남짓 소요되므로 경제적 부담이 된다.

② 치료 적응증 : 성장 호르몬이 부족한 저신장증(저신장아의 10명 중 1명에 해당)에 효과적이다.

③ 치료의 시기 : 여아는 초경 전 초등학교 4 ~ 5학년, 남아는 초등학교 6학년 ~ 중학교 1학년까지이지만 빠를수록 좋다.

④ 효과가 좋은 경우 : 어릴수록, 치료 전 성장속도가 작은 경우, 치료 전 뼈 연령이 많이 지연된 경우, 살이 마른 경우보다 찐 경우.

⑤ 성장촉진 효과 : 치료 첫 1년간 평균 6-10cm이며 해가 갈수록 효과는 조금씩 감소한다.

⑥ 부작용 - 갑상선 기능저하, 당뇨, 고관절 탈구, 동통, 부종, 피부발진 등.


▶ 한방치료

[한약요법]

성장단 : 홍화, 백복령, 녹각, 우슬, 두충, 속단, 토사자 등


▶ 생활습관

① 수면

성장호르몬은 오후10시~오전2시 사이에 가장 많이 분비되므로 10시 이전에 잠을 잔다.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적어서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자기 전 콜라, 초콜렛, 물은 먹지 않는다.

하루 7~8시간 정도 푹 자야 한다.


② 운동

줄넘기, 농구, 조깅, 점프, 체조 등을 하루에 20~30분씩 주 5회 이상 한다.

스트레칭을 하면 무릎과 척추의 성장판을 자극하므로 성장을 촉진하게된다.

관절에 무리가 갈 정도의 힘든 운동은 피해야 한다.


③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한다.

우유를 많이 먹인다. 돌이 지난 아이는 하루 400ml 정도가 적당하다.

등 푸른 생선, 표고버섯, 멸치, 치즈 등 칼슘이 많은 음식을 먹인다.

잡곡밥, 콩을 많이 먹인다.(두부, 두유 등)


④ 피해야할 음식

정제 표백한 빵 (가게에서 파는 봉지에 담긴 빵)

탄산 음료 (사이다, 콜라 등)

햄버거, 피자, 오뎅, 핫도그 등의 패스트 푸드


⑤ 피해야할 자세

한 쪽 어깨로 가방 매기. (무거운 가방은 매지 말고, 항상 양쪽으로 매는 습관을 들인다.)

의자에서 다리 꼬고 앉기.

무릎 꿇은 자세로 놀기. (무릎은 편 상태를 유지하고 구부렸다 폈다 운동을 하도록 한다.)